삶의 향기

숭례문

concert1940 2013. 6. 9. 14:30

 

                                                                                            2013    6   8

 

                                 숭례문

 

5년 너머 전 2005년 2월 이스라엘과 터키를 갔었는데 이스탄불 길을 지나다 타임지 표지에 남대문이 화재로 무너진 것을 보고는 가슴이 무너지는 듯 했었다

 

나라의 국보이기도 하고 하루에도 몇 번씩 지나는 길에 늘 보던 정든 유적이 그렇게 순간에 사라졌다는 것에 아연했다

사라진 것은 그저 보물이 아니라 우리의 긴 역사요  귀한 문화였다

 

거기다 일생 "무궁화"라는 제목의 시집으로 한 줄의 詩를 지어 온 어머니의 무궁화 詩 시리즈에 나오는 "숭례문"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아치를 장식한 남대문의 무궁화 독립된 날 맞추어 단정히 피었네

                南大門花無窮花このをしも まし                                   

                                             むくげ          

             돌문을 단장한 숭례문의 무궁화 숨죽이며 이 날을 기다려 왔네                                        南大門花無窮花このをしも まし

                                                むくげ

                   비바람 겪어 내고 활짝 핀 무궁화 겨례의 얼 서리네

                    雨風えにえつつ きさかる花花にかよう韓民

 

         모진 비바람 속 참고 또 참으며 피고 또 핀 겨레의 심성과 상통하는 꽃

                     雨風えにえつつ 民の心にかよう無窮花かも

                                                                                 むくげ

 

막아논 수리 현장이 볼 제마다 답답하고 외국인 친구라도 오면 가려진 것을 한참 설명해야 했던 게 갑갑했었다

드디어 오랜 공사 끝에 열어 가슴이 시원하고 국보의 본체인 경복궁을 마다하고 숭례문이 국보 1 호가 된 이야기도 알게 되었다

 

늘 다른 나라의 어마어마한 스케일의 유적을 보며 우리 조상은 무얼했는가 생각 안해 본 적 없지만 다시는 그런 화재가 없고 이렇게 우리에게 있는 것이라도 잘 아껴야 한다는 마음이 우리 국민이라면 누구라도  다 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1945년 해방 무렵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숭례문에 마음을 여미고 그 곳에 피어 있는 나라 꽃 무궁화의 혼을 예찬하며 그 꽃이 예속된 우리 민족의 고통스런 마음을 꿰뚫어 다 들여다 본 것을 섬세하게 표현한 손호연 시인의 시를 생각하며 내가 보아 온 키 크고 잘 생긴 무궁화 나무들이 다 사라지고 새로 심지 않은 것이 서운하다

 

우리 국민과 시인이 함께 울고 웃었던 그 무궁화,  예속된 날에도 그 후에도

이 시들은 숭례문과 무궁화를 테마로 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이기도 하다

 

 

             겨레가 말없이 순종해 온 오욕의 날을 눈여겨보던 나라꽃 무궁화

                   この無口のままにいし汚辱をば見極めし無窮花

                                                                                    むくげ

 

              국경과 언어의 장벽까지 뛰어넘어 나는 피우려네  무궁화 꽃을              

                   国境言葉えてかせみる無窮花

                                                                            むくげ

                                                                                      손호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