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주의 (Romantic, 1800~1910)
Ⅰ. 음악에 끼친 사회적 문화적 영향
낭만주의라는 새로운 문학.미술.음악 사조는 19세기초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19세기는 극적인 사
건 및 사상이 일던 시기이며, 또한 자본주의 와 사회주의, 자유와 억압, 이성과 감정 및 과학과
종교 간에 각각 심한 마찰이 있던 시기이기도 하다. 한편 작곡가들은 편협하고 복잡해진 듯한 방
향으로 지적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기 도하여 명확하게 낭만주의 형식이라 일컬을만한 것을 만들
지 못했다. 과거 시대의 작곡가들은 공통된 사조 및 기법으로하여 통일성을 찾을 수 있으나, 낭만
주의 시대에는 그렇지 못하였다.
한편 아래에 열거하는 사회적 사건 및 사조의 흐름으로 인하여 작곡가들이 낭만주의적 기질을 발
휘하는데 영향을 받았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으로 예술가들은 자유에 대한 이상과 개인주의 사상
에 심취하기에 이르렀는데, 음악에 있어서도 역시 낭만주의적 요소가 깃들기 시작하였다. 고전주
의의 특성인 법칙과 제한에 대하여 반격을 가하게 되었다. 즉 고전주의나 기타의 것에 비하여 무
엇인가 다른 태도를 보이고자 한 것이 낭만주의 태동의 근원이며, 음악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형
태를 연주하여 개인주의를 표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더욱이 자유주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여
작곡가들은 자신의 의지를 그대로 표출하고, 그들이 이해한 대로 사물 및 사건을 묘사하기도 하
였다. 말하자면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은 감정의 표출과 상상력의 동원 등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비현실적인 것이나 우주의 신비에 대
한 매력을 찾아 나서기도 하였다.
산업 혁명의 결과 경제 및 사회적 생활에 크나큰 변화가 초래되었으며, 부유한 자본주의 중산층
이 형성되었다. 결국 음악을 듣는 청중의 범위는 실로 크게 확산되어, 음악사상 유래없는 대규모
의 청중을 확보하게 되었다. 부유한 중류 계층들은 곧 작곡가들의 후원자가 되었으며, 한편 문학
과 다른 유형 예술은 저급한 생활 수준, 하층 계급의 생활, 노동자들의 착취 등 산업 혁명의 여파
로 생긴 불합리를 옮겨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반면 음악은 점차 현실 생활과 동떨어지게 되었고, 작곡가들은 현실로부터 도피하여 음악 생활
을 즐길 여유가 있는 자들을 위해 인간 정신의 우수함, 위대함 등을 표현했던 것이다. 음악의 '상
업화'로 인하여 작곡상에 큰 영향을 끼쳐지게 되었다. 폭넓은 대중의 후원을 얻기 위해 작곡가들
은 대중들에게 자신의 음악을 팔기에 이르렀다. 또한 청중들을 매혹시키기 위해, 리스트, 베를리
오즈, 바그너 등과 같은 작곡가 들에게서 보듯이 정열적이고 색채감 있는 성격이 중요시 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흥행주(임프레사리오)는 음악의 상업화에 있어서 중요한 인물로서, 대중들의 성향
을 파악하여 수많은 작곡가 및 연주가에게 강력한 동기를 부여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음악 평론가가 생겨나, 대중들에게 작곡가에 대한 해설을 해 주는가 하면, 음악적 취향에 기준을
마련해 주기도 하였던 것이다. 작곡가들은 이같은 음악 평론가에 대하여 반발하였으나, 평론가들
은 여전히 작곡가들의 작품을 평하였다.
혁명적인 사상은 프랑스 지역에서 태동하였던 반면, 독일 오스트리아 지역에서 가장 크게 번성하
였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는 고전주의에 매우 친숙해져 있으므로 낭만주의 사상을 곧 버리고 말
았다. 그러나 독일이나 오스트리아는 강력한 중앙 집권주의의 억압을 인지하지 못하였고, 또한 정
신 세계에 대해서도 매우 관심이 컸었다. 아직도 혈기가 남았었던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장구한
역사를 지닌 사적 취향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그 이유야 어떻든, 낭만주의 음악도 특히 비엔나에
서 융성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Ⅱ. 음악의 기능
고전주의 시대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있어서도 역시 음악은 귀족 사회의 유희물로 쓰였
다고 할 수 있다. 물론 18세기 보다는 귀족들의 후원이 적었으며 하이든을 후원해주던 식의 풍부
한 후원적 근원이 적어 졌다. 살롱에서 실내악 및 독주곡을 주로 연주하였다. 그러나 낭만주의 시
대 음악은 숙달이 덜된 연주가들에게는 상당히 기교적인 연주를 요하기 때문에 아마추어 연주가
들은 거의 음악을 연주하지 않았다. 한편 살롱 이외에서는 무조직적으로 덜 세련된 음악 애호 집
단이 있어서 음악에 귀를 기울이기도 하였는데, 낭만주의 작곡가들은 특히 이들 집단을 겨냥하여
작품 활동을 함으로써 청중들에게 큰 관심을 사거나 호소를 하고자 하였다. 이들 중류층의 대중
들은 현실 생활에서 오는 무료함을 달래고 흥을 돋구기 위하여 음악을 즐겼고, 따라서 작곡가들
은 이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해주는 것을 그 기능으로 삼았다.
대중들에게 가장 인기 있었던 두 가지 음악의 형태가 있었는데, 하나는 교향곡이며, 또 하나는
오페라와 발레 등의 장대한 작품이 그것이다.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연주가들은 청중들에게 마
음을 끌릴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노력을 다 하였다고 할수 있다. 즉 파가니니나 리
스트 같은 작곡가들은 기교를 과시하는 뛰어난 작품을 씀으로써 대중들에게 호소하였던 것이다.
낭만주의 작곡가들은 자신의 감정과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했기 때문에, 어떤 후원자를 마음에 두
고 작품 활동을 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이같은 현상은 대중들 입장에서 볼 때, 상당히 실험적
이고 부당한 것이라고 판단되는데, 베토벤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와 현악 4중주곡 및 슈만과 볼프
와 여러 가곡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모든 사회 계층에서 사교춤이 유행하였던 바,
작곡가들은 무곡을 쓰는 데도 열중할 수 있었다. 왈츠의 대 유행은 요한 시트라우스 및 그 아들
등과 같은 작곡가 들에게 명성을 얻게 해 주었으며, 성공하지 못한 각료들로부터 시기와 부러움
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교회는 더 이상 음악의 후원자가 지 못하였고, 의식을 위한 예배용 음악은 매우 적게 쓰였다. 연
주회용으로 작곡가의 종교적 감정과 신앙심을 표현하고자 하는 종교 음악은 조금 있었다. 19세기
말 경 여러 대학에서는 음악사 및 이론 연구를 교과목으로 채택하게 되었으며, 리스트, 멘델스죤,
림스키-코르사코프, 슈만 등의 유명한 작곡가들이 교사로 채용되었다. 한편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작곡가들은 싹막한 작품이나 연습곡 등을 작곡하기도 하였는데, 그 중에서 쇼팽의 「Etudes」는
매우 우수한 예술성을 지닌 것으로 피아노 연습시 가장 중요한 곳으로 채택되었던 것이다. 대학
에서는 바하, 모차르트, 베토벤 등을 포함한 작곡가들의 전집을 출판하게 되었다. 「Denkm ler
der Tonkunst in Oesterreich」와 로베르트 아이트너의「Quellenlexikon der Musiker und
Musikgelehrten」과 같은 것들이다.
Ⅲ. 양식의 특징
낭만주의 음악은 상당히 개인적이고, 음악에 대한 개념도 상당히 여러 갈래였으므로, 모든 음악
의 형식적 특성이 모두 일정한 형태로 규정될 수는 없다. 낭만주의적 이상주의자가 있었는가 하
면, 낭만주의적 현실주의자도 있었으므로 각 작곡가 그룹, 심지어는 작곡가의 작품들 내에서도 양
식이 일정하지 않았다. 즉 이상주의자는 절대주의적 입장을 취하여 음악은 음악을 위해서만 존재
한다고 굳게 믿고 있었으며, 현실주의자는 표제 음악을 창시하여 음악은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
고 자연의 소리를 흉내내기도 하며, 눈앞에 보이는 풍경을 묘사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문학적인 형식과 함께 중요한 것은 독창에 있어 가사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어떤 작곡
가들은 소규모의 작곡 형태나 우아한 가사를 사용하여 독창곡, 실내 악곡 및 서정적인 피아노 소
품 등으로 하여 개인의 감정을 묘사하였던 것이다.
국민주의와 국제주의도 크게 대조를 이루었는데, 즉 국민적 특성을 찬탄하거나 민요, 춤곡, 등을
씀으로써 애국심을 동요시키려는 목적을 가진 작곡가들도 있었으며, 이러한 국민주의는 특히 러
시아, 폴란드, 보헤미아 등의 지역에서 번성하였다. 러시아에서는 큐이, 발라키레프, 무소르그스키,
보르딘, 림스키 코르사코프 등으로 이루어진 '러시아5인조'라 일컬어지는 그룹이 있어 이태리 및
독일의 전통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였다. 이같은 그룹과는 대조적으로, 범우주적인 음악 언어를
형성하고자 하는 국제주의가 주창되기도 하였다. 이 그룹은 '절대주의자'라 일컬어졌는데, 이들은
음악이 음악 자체만을 표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한가지,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지녔던 공통점은 이들이 감정의 표출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보았
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낭만주의 시대의 모든 음악은 감정적 반응을 가장 강화시킬
수 있는 음악의 긴장성을 얻는데 주력하였다. 대부분의 이 시기의 작곡가들은 고전주의 시대의
구속과 형식주의에 반대하였으나, 슈베르트, 멘델스죤, 브람스 등과 같은 몇몇 낭만주의 작곡가들
은 고전주의 음악 형식의 틀에서 낭만주의적 감정 표현 방식을 취하였다.
19세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인상주의라고 불리우는 화가.작가.작곡가들에 의해 낭만주의에 대한
반동이 있었다. 인상주의는 낭만주의와 20세기 초기의 실험주의를 연결하는 분기점에서 나타난
것으로 색채, 선, 가사, 멜로디 및 화성을 제시해 주는 역할을 하며, 청중.관객.독자들은 그로부터
완벽한 인상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같은 운동은 화가인 모네, 마네, 상징주의 시인인 베를레느,
말라르메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드뷔시를 포함한 여러 작곡가들은 드디어 낭만주의적 이상주
의에 대하여 반감을 갖게 되었고, 또한 표제 작곡가들에 대하여도 반대하기 시작하였다. 인상주의
음악은 색채적 효과, 분명치 않은 화성, 느슨한 형식 등으로 특징지어졌다.
1. 형식적 구성
a. 단성 형태로 멜로디를 대조시키거나 아직은 소나타를 가장 중요하게 사용하는 등의 형식 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2개의 멜로디 대조 형식 외에 동기나 주제를 대조시키는 방법도 채택 되었
다.
b. 고전주의 형식을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아울러 발라드, 녹턴 및 환상곡 등의 자유
형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특히 피아노 곡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같은 자
유형식은 보통 발전부 없이 주제를 대조시키는 형식에 기초하고 있다. 간혹 매우 짧은 전주곡
이나 에튀드 등에서도 단 하나의 주제나 멜로디를 사용, 화성.리듬 등을 변화시켜 대조를 이루
도록 하였다.
c. 고전주의 시대만큼 형식이 정확하고 명료하지 않았으나, 중복 이나 몽롱함 등이 강한 종지점
없이 자주 나타난다. 악절이나 동기는 화성이나 리듬적인 면에서 볼 때 서로 연결되어 있는 듯
한 느낌을 주고 있다.
d. 표현적 특징을 꾸준히 나타내기 위해 각 악장에서 동일한 주제적 소재를 다루었다. 이는 '순
환', 혹은 '실험 형식'이라 일컬어진다.
e. 형식은 항상 균형적이나 조화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악절은 간혹 불규칙한 박자를 사용
하기도 하였다. 소나타 형식의 발전부는 다소 긴 편이었는데, 여기에서 작곡가는 자신의 상상력
과 재질과 충분히 발휘시켰던 것이다.
f. 민요적 멜로디 혹은 최소한 민요풍의 멜로디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특히 국민적
음악과 낭만파 이상주의자들의 음악에서도 사용되었다. 민속 음악은 특히 낭만적 오페라는 의
심할 여지없이 일반 대중의 흥미를 북돋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2. 선 율
a. 낭만주의 시대의 선율은 화성 진행을 의하여 이루어지며, 반음계가 자주 사용되어 화성적 긴
장을 조성시키기도 하였다.
b. 멜로디 주제는 그 형식이나 길이에 있어서 양식화되어 있지 않으며, 불규칙적인 리듬, 악절
등에 의해 단편화되어 있다. 또한, 바그너 등은 허위 종지를 사용하여 멜로디 주제를 길게 늘여
놓기도 하였다.
c. 작곡가 자신의 감정에 따라 멜로디가 특정 지워지지도 하였는데, 박력 있는 클라이맥스와 강
약 의 잦은 변화 등을 삽입시켜 감정 표현상 필요한 긴장감을 조성시켰던 것이다.
d. 인상주의자들의 의해 사용된 온음계는 멜로디와 화성의 목적을 위해서 쓰여졌다. 이 음계는
완전4도, 5도, 이끔음, 주음의 개념이나 중심음 등을 부인하였으며, 따라서 다른 음을 긴장시키
지 않는 상태에서 각 음을 진행시킬 수 있게 해 놓은 것이다.
3. 리 듬
a. 초기 낭만주의 시대에는 고전주의 시대의 리듬 요소와 유사한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
후 19세기 중엽부터 부는 리듬이 더욱 불규칙해지고, 또 흥미로와졌다. 한 마디 내에서 박자표
를 변화시키기도 하였으며, 크로스 리듬, 싱커페이션이 자주 쓰였다.
b. 리듬은 대개 복잡하고 열정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특히 느린 악장에서는 강박감을 피하여
긴장감을 더욱 주기도 하였다.
4. 화 성
a. 낭만적 화성은 아직 조성은 있었으나 이 시기의 대부분 화상적 특징은 장조.단조 체계가 점차
붕괴되어 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b. 하나의 선법에서 특징적인 화음을 다른 선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장조 및 단조의
선법을 융합함으로써 조성은 미약하게 되었다.
c. 화성에서 반음계, 비화성음, 교체 화음 및 9도, 13도 화음 등이 광범위하게 적응되었다. 따라
서 화성적 긴장을 조성하고 중심음에 대한 감각을 약화시켰다.
d. 수많은 허위 진행은 사용하여 강한 정격 종지를 피함으로써 화성적 긴장과 생동감을 부여하
였다.
e. 바로크나 고전주의 시대에 비해 조의 관련성이 덜 형식화 되어있다. 먼 거리로 전조 하거나
짧 은 시간 내에 조의 이탈과 갑작스런 이동으로써 긴장감을 이루었으며, 어느 일정한 한 조
에 대 한 강렬한 이미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다.
5. 구 조
a. 낭만주의 음악을 구성은 수평 수직적 요소를 혼합시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다성 구성과 리트
의 서정적 요소적 사용되었다.
b. 고전주의 음악이 지적이고 투명한 성질의 것이라 한다면, 이 시대의 음악은 불투명한 소리로
되어 있는 장중한 성질의 것이라할 수 있다.
c. 오케스트라 음악에서는 수많은 악기 그룹을 사용하여 풍부한 구성감을 주었다. 또한 종전에
비해 악기군을 더 많이 세분함으로써 공명감을 더 많이 만들어 냈다. 예를들어, 바그너는 제1바
바이올린 부분을 4부로 나누어 놓았던 것이다.
6. 매체와 음색
a. 피아노는 모든 음역을 자유로이 진행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이 연주할 수 있을 뿐 아니
라, 개인이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시기에 독주 악기용으로 가장 흔히 사용되었다. 그리하
여 피아노는 낭만주의 음악의 가장 대표적인 상징이 되기에 이르렀으며 각 가정에서는 가정용
악기로써 많이 사용하였다.
b. 음색은 멜로디와 화음 구성에 가장 주요 부분을 차지하였다. 특정 악기를 사용하여 음악적 표
현을 지닌 음색으로 멜로디가 만들어졌다. 화음 구성 역시 종전과 다른 악이 조화 및 세분 등
에 의해 관현악 구성을 꾀함으로써 새로운 음색을 창출하도록 이룩되었다. 음색의 새로운 종료
는 현의 음역을 높이고 관악기 부분을 확대시키는 배합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관현악곡이 인기를 모으게 되었던 바, 대규모적이고 화려하며, 공명감이 있어 낭
만주의적 표현을 충분히 할 수 있게 되었다. 관현악은 잉글리시 혼, 클라리넷 등을 첨가하고,
금관 악기 및 타악기 등을 더 기존의 악기를 점점 기교적으로 연주하도록 하는 기법도 발전시
켰다.
c. 피아노 반주를 곁들인 독창곡도 이 시기에 인기있는 형태 중의 하나이다. 성악은 낭만주의 문
학적 요소와 함께 만들어지기 때문에 시적인 가사를 첨가하는 것은 개별적인 것이었다. 독창곡
과 오페라 이외에 성악 음악은 그 당시에는 덜 중요했다.
d. 오페라 역시 이 시기에 있었던 주요 형태 중에 하나이다. 드라마, 시 등을 음악과 조화시킴으
로써 관중들의 감정에 강한 인상을 심어 주었던 것이다. 요즘 연출되는 오페라 중 대다수가 낭
만주의 오페라 임을 볼때, 이 당시 오페라의 인기를 가히 짐작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실기와 연주
고전주의 시대보다 강약의 개념이 더 분명해졌다., 소리의 세기를 세분하여 일정 용어를 표기하
기에 이르렀다. 한편 메트로놈 표시를 이용하여 속도도 더 정확하게 고안되었던 것이다. 오케스트
라의 규모가 방대하고 복잡해졌으며, 처음으로 오케스트라 지휘자는 대연주가로서 낭만주의적 감
정을 마음껏 표현하는, 이른바 주목할 만한 연주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공명감과 위력감을 얻고
자 하여 대규모의 악기 그룹을 동원시키기도 하였는데 특히 베를리오즈 음악의 경우 대규모의 오
케스트라와 코러스가 등장되고 있다. 또한 웅장감을 얻고자 하는 의도에서 연주가의 수를 대폭
증가시키기도 하였다. 대규모 축제 분위기의 오케스트라와 코러스가 여러 지방에서 연주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많이 연주되고 있다. 1,000명이 넘는 연주자가 한 작품의 연주에 참가하는 예도 있
다.
중산층들의 음악을 만들어 내는 애착심이 합창회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민요, 정치성의 노래들
과 가곡들은 음악적인 후원료를 제공했다. 그러나 예술성은 오히려 천박했다. 그러한 유형들은 헨
델이나 하이든의 오라트리오를 소개했지만 작곡가들의 낭만적 기질에는 영향을 거의 주지 못했
다. 즉흥곡은 작곡상의 복잡성과 연주의 완전한 지시 등으로 인해 이 시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았
다. 반면 쇼팽이나 리스트 등의 소수 작곡가들은 화려한 즉흥곡을 다수 작곡하였으나, 카덴쯔의
대부분은 즉흥으로 실행하는 방법으로 쓰여졌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개인주의와 화려함이 강조되었기 때문에 대연주가가 많이 배출되었다. 베토
벤은 후에 귀머거리가 되기 전까지 뛰어난 피아니스트로 알려졌다. 비엔나에서의 여광은 아마도
그의 작품만큼 많은, 피아노의 예술적 재능 때문일 것이다. 프란츠 리스트는 낭만주의 시대에서
가장 훌륭한 피아니스트였다. 그의 화려한 연극과 어울려진 그의 자력적인 개성과 극적인 영향은
그를 전설적인 인물로 만들었다. 그의 기교주의는 피아노 연주에서 항상 현저한 영향을 끼쳤다.
한편 쇼팽은 세련되고 화려한 음악을 연출해 낸 또 하나의 거장 피아니스트로서 낭만주의 정신을
대표하고 있다. 이 외에도 뛰어난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로는 칼 체르니, 안톤 루빈스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니콜로 파가니니는 바이올린 연주 기법을 개발해 냈는데 특히 그의 더불 스토핑, 화음 패시지,
트릴 등의 연주 기법은 오늘날까지도 매우 힘든 과제로 연주가들에게 여겨지고 있다. 연주가로서
널리 알려진 파가니니는 리스트 및 베를리오즈 등 수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후기 낭만주의 바이올리니스트인 요하힘은 크람스의 음악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작곡가들 또한 악기 연주의 거장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기술적인 업적은 그들의 악보에 나타났
다. 오페라 가수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는데 작곡가의 기본적인 개념을 연주자들이 자발적으로 표
출하기 때문에 두 사람의 연주자가 같이 표현하는 것은 거의 힘들었다. 레코드 산업이 발달해서
야 우리는 가수의 기술적인 기교의 표현의 하나로서 여겨지게 된 이후 그 지휘자는 훌륭한 연주
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즉 베버, 멘델스죤, 베를리오즈, 리스트, 바그너 및 말러 등은 작곡가로
서 뿐만 아니라 뛰어난 지휘자로서도 인정을 받았던 것이다. 이 외에도 뷜로 및 리히터 등은 뛰
어난 작곡가는 아니였지만 지휘자로서 잘 알려져 있다.
Ⅴ. 기악곡
A. 단일 악장 형식 및 구성
1. 소나타 형식(Sonata-form)
낭만주의 시대의 소나타 형식은 그 조직 형태가 고전주의 시대 소나타 형식에 그 기초를 두고
있긴 하나, 멜로디 및 화성적 소재를 좀더 확대시켰다. 2개의 주제를 대조시키지 않고 도입부에서
작곡가들은 주제군(群)을 도입하여 각 주제를 각기 다른 조로 이어지게함으로써 화성의 폭을 넓
혔다. 이와 같이 멜로디 및 화성적 소재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발전부를 고전주의 시대보다 꽤
길게 늘여 놓게 되었으며, 한편 조변화를 조정하고 주조음으로 끝내기 위하여 간혹 긴 코디를 사
용하기도 하였다.
Ex: Piano Sonata no. 23, Op. 57 (Appassionata), Beethoven
First Movement, Symphony no. 3 ,E flat major, Op. 55(Eroica), Beethoven
First Movement, Symphony no. 3, F major, Op. 90, Brahms
2. 2부 혹은 3부 가요 형식(Two-and three-part song forms)
작곡가의 개인적 감정을 표현하거나 분위기를 제시하기 위한 짧은 형식의 곡에 제목을 붙여 일
컫기도 하였는데, 대개 이들은 흔히 'character pieces'라 불리었다. 흔히 2부, 혹은 3부 형태로 되
어 있었으나, 때로는 1부 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형식 중에 녹턴, 전주곡, 카프리
스, 새레나테, 바가텔로, 즉흥곡 등이 그것들 이며, 발라드는 대개 사건의 배열은 없으나 이야기를
하는 듯한 분위기로 된 다소 긴 형태이다. 이와 같은 짧은 곡에 붙여지기도 하였다.
Ex: Nocturnes, Chopin
Caprices for Violin, paganini
Ballad no. 4, Chopin
Ballad, Op. 10 no. 1, Brahms
3. 변주곡(Variations)
변주 형태가 소나타 및 교향곡에서 한 악장으로서 간혹 사용되었던 반면, 오케스트라 및 피아노
독주곡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변주곡은 대개 기존의 주제로 이루어지거나 특별히 지
어진 멜로디를 갖고 이루어진다. 때로 각 변주곡은 주제가 나타내는 분위기 및 특성 등을 암시하
도록 되어 있다.
Ex: Enigma Variations, Op. 36, Elgar
Variations on a Theme by Handel, Op. 24, Brahms
Variations in D major, Op. 76, Beethoven
4. 무곡 악장(Dance Movements)
19세기에는 오케스트라 및 독주 악기(특히 피아노)를 위한 무곡 악장이 중요시되기 시작하였다.
폴로네이즈, 마주르카 및 호타 등의 국민적 특성을 보여주는 춤곡이 대다수의 작곡가에 의해 쓰
여졌으며, 헝가리, 스페인 및 슬라브 무곡 등도 대다수 쓰여졌다. 생각이나 사건 등을 상징화한
「Danse Macabre」, 「March to the Gallows」 등의 춤 악장을 작곡함으로써 감정 및 분위기를
강렬하게 하는 방법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Ex: Polanaise Fantasie, Op. 61, Chopin
Mephisto Waltz, Liszt
Dansem Macabre, Saint-Saens
5. 랩소디(Rhapsody)
국민적 성격 혹은 서사적 성격의 주제를 갖고 자유로운 환상적 분위기로 쓰여진 낭만주의 음악
을 일컫는 것으로 낭만적 긴장감과 대조가 되는 단일 악장 형식이다. 오케스트라와 독주 악기가
합주를 위한 곡으로 흔히 나타난다.
Ex: Hungarian Rhapsody no. 2, Liszt
Rhapsody in E flat major, no. 4, Op. 119, Brahms
Spanish Rhapsody, Op. 70, Albeniz
6. 에튀드(etudes)
특히 독주 악기를 위한 특징한 형식으로 원래 연주 기법을 습득시키기 위해 마련한 연습곡이었
으나 점차로 기교적 연주를 요하는 연주회 작품으로 간주되었다.(연주의 작품이 된 이후에도 연
습곡의 기능은 그대로 갖고 있었다.) 각 애튀트는 특정한 기교적 연주를 요하고 있으며, 2부 혹은
3부로 되어 있고, 대조 및 반복등으로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
Ex: Etudes, Op. 25, Chopin
Transcendental Etudes after Paganini for Piano, Liszt
7. 연주회용 서곡(Concert overture)
오페라와는 연관이 없는 서곡 형식으로 된 쇼향곡적 작품이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멋이 목적이
아니며, 문학적 주제, 풍경 및 사건 등을 나타내는 분위기를 모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형식의 작품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Ex: Hebrides Overture, Mendelssohn
Academic Festival Overture, Op. 80, Brahms
8. 교향시(Symphonic poem)
관현악 표제 음악 형태의 하나로서 리스트가 처음 창안하였으며, 특히 시적 아이디어에 기초하
고 있는 경우에는 '음시'라고 일컫는다. 연속 악장 형태로 되어 있으며 표제나 문학적 개념을 지
닌 주제의 변주.대조 등에 기초하고 있다. 그것은 주제에 개념을 보유하고 여러 장면과 형식을 통
해 주제를 전환하거나 변형시키는 것이다.
Ex: Les pr lues, Liszt
Vltava(Moldau), Smetana
Till Eulenspiegel, Richard Strauss
B.혼합 형태
1. 소나타 및 교향곡(Sonata and Symphony)
그 형태는 고전주의의 소나타 및 교향곡 형태에 그 그초를 두고 있다. 베토벤, 슈베르트 등의 작
곡가들은 고전주의적 특성을 자 보여주고 있는 반면, 베를리오즈, 말러, 브르크너 및 차이코프스
키 등의 작곡가들은 고전주의적 특성을 거의 보여주고 있지 않다. 낭만주의 초기에는 피아노 소
나타가 가장 유행하였으며 또한 바이올린, 피아노, 첼로와 피아노 소나타 등도 유행하였다. 한편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교향곡은 가장 잘 쓰이는 혼합 기악 형태로서 그 자리를 굳혀 갔으며, 작
곡가들은 이 형태를 사용하여 음악과 문학적 아이디어를 혼합시키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그 주
제는 고전주의의 교향곡 주제보다는 더 서정적이고 대조적으로 되어 있다. 전조는 좀더 다양해졌
고 자유롭게 행해졌다. 균형이나 논리 등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았으므로, 각 악절에 대한 조
직 구성에 더 치중하게 되었다. 각 악장에서 동일한 주제 혹은 주제의 일부를 동시에 사용함으로
써 악장간의 통일성을 이룩하였다.
고전주의 소나타나 교향곡에서는 제1악장을 강조했던 반면, 이 시기의 소나타 교향곡에서는 마
지막 악장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클라이맥스나 주제적 소재의 절정 등이 마지막 악장에서 이
루어지는 경우에는 그러하였다. 미뉴에트는 대개 스케르쪼 악장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제2악장
및 마지막 악장에서 사용되었으며, 몇몇 작곡가는 5악장으로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교향곡이 대개
4악장으로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교향곡이 대개 4악장으로 되어 있는것과 대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Ex: Sonata for Violin and Piano, c minor, Op. 30, Beethoven
Sonata for Cello and Piano, F major, Op. 90, Brahms
Sonata no. 2, Op. 35, Chopin
Symphony no. 3, E flat major, Op. 55(Eroica)Beethoven
Symphony no. 5, e minor, Op. 64, Tchaikovsky
Symphonie Fantastique, Berlioz
2. 협주곡(Concerto)
낭만주의 시대 협주곡은 18세기의 대위법에 비해 교향적인 면이 더 짙게 나타나 있으며, 독주
악기의 기교적 연주가 장관을 이룬다. 고전주의 시대 협주곡에서 보이던 이중의 도입부는 삭제되
었고, 연속 악장 및 순환 형식 등의 낭만주의 음악적 특징이 역시 독주 협주곡 형태에서도 나타
난다.
Ex: Piano Concerto, a minor, Op. 54, Schumann
Piano Concerto, D major, Op. 77, Brahms
3. 실내악(Chamber music)
실내 앙상블의 형태는 낭만주의 교향곡 및 소나타 형태를 본딴 것이며, 그 악기 구성은 고전주
의 실내 앙상블과 동일하다.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실내악을 연주할 깨보다도 더 많은 연주상의
기교가 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Ex: String Quartet, no. 16 in F major, Op. 135, Beethoven
Piano Quintet in E flat major, Op. 44, Schumann
Clarinet Quintet in b major, Op. 115, Brahms
'음악가, 음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트 초기생애 (0) | 2011.04.19 |
---|---|
피아노의 거장 / 리스트생애 (0) | 2011.04.19 |
요한 볼프강 폰 괴테와 프란트 슈베르트 (0) | 2011.03.26 |
허희정 배장흠 COMMUNION 출시 (0) | 2011.01.19 |
에릭 시걸의 사망 (0) | 2010.01.30 |